바이브가 2024년도 유해 화학물질 판독 시스템 구축 사업의 성능평가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유해 화학물질 판독 시스템 구축 사업이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부처 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유해 화학물질 재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해당 사업에서 주관 사업자로 선정된 바이브는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우경정보기술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바이브 AI 기술과 소방 분야 데이터를 결합한 유해 화학물질 판독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는데요.
2022년부터 3개년 진행된 바이브 컨소시엄은 올해 3차년도 사업에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성능평가 결과 23개 유해 화학물질에 대해 Top1 94%, Top3 96%의 판독률을 달성했습니다.
바이브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썸트렌드 클라우드’의 신규 기능으로 ‘인플루언서 검색’과 ‘뉴스 다이제스트’가 추가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된 기능은 마케팅 및 홍보 분야 전문가들에게 보다 폭넓은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는데요.
💡콘텐츠 연관성 중심의 인플루언서 탐색 강화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인플루언서 검색’은 점차 세분화되고 있는 나노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트렌드를 반영한 기능입니다. 기존의 팔로워(구독자) 수나 조회수 등 규모 기반 메가 인플루언서를 찾아주는 서비스와 달리, 콘텐츠 분석을 통해 브랜드와의 연관성까지 정밀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단순한 도달 범위를 넘어,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연관성과 캠페인 적합성을 파악하고, 메가 인플루언서부터 나노 인플루언서까지 전략적 선정이 가능해졌습니다.
바이브가 11월 29일 국내 생성 AI 산업 발전에 필요한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의 성과공유회를 개최했습니다. 지난 4월 해당 사업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된 바이브는 자체 개발한 생성 AI 파운데이션 모델 ‘바이브GeM’ 을 기반으로 LLM (Large Language Model) 응용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생성 AI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산학협력을 통해 추진한 프로젝트 실적을 공유하고 2025년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행사에는 바이브 기술 전문가를 비롯해 고려대, 서울대, 국민대, 연세대 등 과제 참여 연구진 4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바이브가 ‘2024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에 참가해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 기반 AI 솔루션 등 주요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이날 행사에서 소개한 바이브 서치는 데이터베이스 내 문서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한 후 이를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RAG 기술 기반 검색 솔루션으로, 모델의 기억에 의존하는 방식보다 훨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경기도가 주최하는 ‘2024 디지털 퓨처쇼’에 참가한 바이브가 기업, 기관의 AX실현을 위한 바이브 서치, 썸트렌드, 바이브 뉴스다이제스트 등 자사 대표 솔루션을 소개했습니다.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뉴스를 자동으로 클러스터링하고 요약해 주는 바이브 뉴스다이제스트는 기업들이 중요한 뉴스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바이브가 AI 비즈니스 강화를 위해 창업주 김경서 의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습니다.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 출신 김경서 신임 대표는 2000년 다음소프트(현 바이브)로 독립법인을 설립하고 2013년까지 대표직을 맡아 지금의 바이브를 있게 한 창업주인데요.
김경서 대표는 “바이브를 창업하고 10년 이상 직접 이끌었던 경험과 공직 및 학계에서 쌓아온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사 비즈니스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키겠다.”며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솔루션을 통해 바이브의 핵심 가치를 재정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바이브 산하 트렌드 연구소인 생활변화관측소가 제시한 2025년 대한민국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현대인을 이해하기 위해 딱 3개의 질문만 해야 한다면, ‘누구와 함께 있는가?’, ‘무엇을 보고 있는가?’, ‘어디에 돈을 쓰는가?’ 정도가 될 것입니다. 2024년 소셜 빅데이터에 나타난 우리 사회와 개인들의 변화상을 알아보고 어떤 2025년을 그려볼 수 있을지 2025 트렌드 노트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